Description
숫자로 이루어진 문자열 t와 p가 주어질 때, t에서 p와 길이가 같은 부분문자열 중에서, 이 부분문자열이 나타내는 수가 p가 나타내는 수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나오는 횟수를 return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예를 들어, t="3141592"이고 p="271" 인 경우, t의 길이가 3인 부분 문자열은 314, 141, 415, 159, 592입니다. 이 문자열이 나타내는 수 중 271보다 작거나 같은 수는 141, 159 2개 입니다.
제한사항
- 1 ≤ p의 길이 ≤ 18
- p의 길이 ≤ t의 길이 ≤ 10,000
- t와 p는 숫자로만 이루어진 문자열이며, 0으로 시작하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tpresult
"3141592" | "271" | 2 |
"500220839878" | "7" | 8 |
"10203" | "15" | 3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본문과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p의 길이가 1이므로 t의 부분문자열은 "5", "0", 0", "2", "2", "0", "8", "3", "9", "8", "7", "8"이며 이중 7보다 작거나 같은 숫자는 "5", "0", "0", "2", "2", "0", "3", "7" 이렇게 8개가 있습니다.
입출력 예 #3
p의 길이가 2이므로 t의 부분문자열은 "10", "02", "20", "03"이며, 이중 15보다 작거나 같은 숫자는 "10", "02", "03" 이렇게 3개입니다. "02"와 "03"은 각각 2, 3에 해당한다는 점에 주의하세요
< 알고리즘 >
1. 포문을 돌면서 하나 돌때마다 첫 숫자씩 감소하는 새로운 문자열 s 를 만든다 (범위 설정이 좀 귀찮은데 하나씩 해보면서 규칙을 찾아봤다)
2. 하나씩 앞에가 빠진 문자열을 p의 길이만큼 슬라이싱하고 li 에 넣는다
3. string 으로 들어온 변수들을 int 로 바꿔준다 (map 을 쓰니까 오류나던데 대체왤까....)
4. 값을 비교해보고 li 에 있는 값들이 p 보다 작거나 같으면 answer 에 1을 추가한다
def solution(t, p):
#초기값 설정
answer = 0
li = []
#for 문을 돌때마다 앞의 숫자가 하나씩 감소하게 만든 후 슬라이싱
for i in range(1, int(len(t)-len(p)+2)):
s = t[int(i-1):]
a = s[0: (len(p))]
li.append(a)
#데이터를 정수로 변환
li_int = [int(i) for i in li]
p = int(p)
print(li_int)
print(p)
#값을 비교해 정답에 1씩 올리기
for j in li_int:
if j <= p:
answer +=1
return answer
'코딩테스트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프로그래머스_lv1] 푸드 파이트 대회 (0) | 2022.12.30 |
---|---|
[python][프로그래머스_lv1] 숫자 문자열과 영단어 (카카오 코딩테스트) (0) | 2022.12.28 |
[python][프로그래머스_lv1] 실패율 (카카오 코딩테스트) (0) | 2022.12.27 |
[python][프로그래머스_lv1] 콜라 문제 (0) | 2022.12.24 |
[python][프로그래머스_lv1] 모의고사 (0) | 2022.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