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자형 데이터
문자형 데이터.. 파이썬 문법과 동일하게 내가 어떤 데이터를 문자형으로 만들고 싶다면 'string' 처리를 해주면 된다.
다음은 자주 쓰는 모듈들이다.
1.1. LOCATE()
문자가 여러개면 가장 먼저 찾은 문자의 위치를(인덱스를) 가지고 온다.
찾는 문자가 없다면 0을 반환한다
1.2.SUBSTRING()
어떤 문자를 찾으면 그 문자에서 n번째 문자까지 반환한다.
예를 들어, lyric 테이블에서 3번째 문자까지 반환해달라는 쿼리문을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이렇게 나올 것이다
만약 입력한 숫자가 문자열의 길이보다 크면 아무것도 안 가져온다
1.3. RIGHT, LEFT
앞선 SUBSTING 과 비슷하지만 오른쪽에서 n 번째, 왼쪽에서 n 번째까지의 문자를 반환한다
1.4. UPPER, LOWER
파이썬 문법과 동일하다. 대문자, 소문자로 바꿔준다
1.5. LENGTH
역시 파이썬과 동일하다. 길이를 반환한다
1.6. CONCAT
파이썬에서 데이터프레임을 합쳐주는것과 다르게, 문자열을 붙여주는 역할을 한다. 파이썬에서는 그냥 + 이용
1.7. REPLACE
파이썬과 역시 동일하다. A 를 B 로 바꿔주는 역할을 함
*본 게시글은 패스트캠퍼스의 가장 쉽게 시작하는 데이터 분석, SQL 유치원 강의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728x90
'데이터 엔지니어링 >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 시간형 데이터에서 쓰는 모듈 (0) | 2022.11.24 |
---|---|
[SQL] 숫자형 데이터에서 자주 쓰는 모듈 (0) | 2022.11.24 |
[SQL] 데이터 줄세우기 RANK, DENSE_RANK, ROW_NUMBER (0) | 2022.11.24 |
[SQL] 서브쿼리 (0) | 2022.11.23 |
[SQL] 여러 테이블 한번에 다루기 (0) | 2022.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