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분석 Data Analysis/Google Analytics

[GA] 구글 애널리틱스 꼭 알아야 하는 주요 지표들

허니비 honeybee 2022. 11. 24. 15:51

구글 애널리틱스 보고서에서는 차원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분류하고 보고서를 만들어볼 수 있는데, 이 때 우리가 눈여겨 봐야하는 기본 항목들을 정리해 보겠다. 

 

 

1. User 사용자

 

쿠키 기반으로 집계되는 사용자. 두 개의 다른 탭으로 들어가면 쿠키 기반이라 어쩔 수 없이 두개로 인식함. 근데 일자 기준으로 중복은 제거되기 때문에 9/1, 9/2, 9/3 세 번 방문하더라도 1명으로 집계된다 

 

 

 

2. Session 세션 

 

방문 수랑 다름! 아까와 다른 점은 "접근했어!" 라는 hit 이 생긴, interaction 을 기반으로 집계되는 데이터라고 보면 된다. 9시부터 9시 10분까지 있다가 30분 쉬고 9시 40분에 들어온다면, 9시 - 9시 10분이 첫 세션으로, 9시 40분이 두 번째 세션으로 집계된다 (보통 30분으로 놓고 씀) 

 

* 30분동안 유저가 hit 을 발생시키지 않으면 세션이 종료

* 자정이 넘은 경우 세션 종료 

* 유입이 달라지면 세션 종료 (분리) 

 

 

 

3. Pageview 

페이지 뷰 (raw)

 

 

4. Unique Pageview

 

세션 내에서 중복 제거된 페이지 뷰

 

 

5. 주요 지표 Total Events & Unique Events 

 

- 베너나 이벤트 같은것의 클릭율 계속해서 추적하는 경우 (이벤트 태그) 가 이에 해당한다. 

단, 구글 태그매니저를 통해 웹사이트나 앱의 디자인이 바뀔 때 마다 계속 수정해 주어야 하며, 

이 작업은 마케터가 잘 이름을 붙여서 추적해 주어야 함 

 

 

 

 

 

6. Bounce Rate 

 

한 세션동안 한번 보고 나가버린 경우! 이탈 고객으로 간주한다. 들어와서 딱 들어온 그 세션만 보고 어떤 hit 을 발생시키지 않고 나간 경우가 이에 해당함. 

 

bounce rate = bounce / sessions * 100

 

-> 만약 이런 경우에 생각해 볼 점들

 

네비게이션이 잘 안되나?

메인에서 본 제품이 너무 비싼가?

연결이 잘 안됐나?

물론 이벤트 페이지는 이게 높을 수 밖에 없음

 

 

7. Exits Reate 

잔존율

 

8. Avg. Session Duration 

세션 내 첫 상호작용에서 마지막 상호작용까지의 시간 

 

 

728x90
반응형